세번째 소개 작품은 리처드 커티스 각본/ 감독의 『어바웃 타임(About Time, 2013)』이다. 이 영화는 시간을 되돌릴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한 남자의 삶을 통해 사랑, 가족, 일상이라는 소중한 가치를 섬세하게 그려낸 작품이다. 단순한 로맨스를 넘어 인생의 본질에 다가가는 이 영화는 관객에게 깊은 울림을 전한다.
로맨스를 넘어, 삶 그 자체를 이야기하다
『어바웃 타임』은 시간여행이라는 판타지 설정을 로맨틱 코미디의 외피로 감싸고 있지만, 실상은 인간 관계와 삶의 태도에 대한 진지한 고찰을 담은 영화다. 리처드 커티스가 각본과 감독을 맡은 이 작품은 기존의 화려한 판타지물과는 다르게, 일상의 소중함을 극도로 정제된 톤으로 전달한다. 영화의 주인공 팀(돔놀 글리슨)은 21살이 되던 해, 아버지로부터 가문의 남성은 시간을 되돌릴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리고 그는 이 능력을 통해 사랑, 실수, 후회, 가족의 시간들을 다시 체험하며 삶의 본질을 조금씩 깨닫는다. 시간을 되돌릴 수 있다면, 우리는 얼마나 많은 것들을 바꿔보고 싶을까? 이 영화는 그 상상력에서 출발하지만, 결국 시간의 반복이 아닌 ‘지금 이 순간을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에 초점을 맞춘다. 사랑하는 사람과의 하루하루, 가족과의 식사, 아버지와의 마지막 대화 같은 장면들이 모여, 영화는 인생에서 진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관객에게 조용히 속삭인다.
시간을 통해 발견하는 사랑과 일상의 의미
팀은 첫사랑 샬럿(마고 로비)에게 실패한 후, 미래의 아내가 될 메리(레이첼 맥아담스)를 만나게 된다. 시간여행 능력을 활용해 완벽한 데이트를 만들고, 실수를 되돌리며 연애를 이어가는 그의 노력은 처음엔 달콤한 판타지처럼 보인다. 그러나 영화는 점차 그 능력의 한계와 윤리적 딜레마를 드러내면서, 진짜 사랑이란 실수를 덮는 기술이 아니라 서로를 온전히 받아들이는 마음임을 보여준다.
무엇보다 이 영화에서 가장 강렬한 감정선은 ‘부자 관계’다. 팀과 그의 아버지(빌 나이)가 나누는 대화와 마지막 재회 장면은 로맨스를 넘어선 진한 가족애의 중심축을 이룬다. 팀은 아버지의 죽음을 막을 수 없음을 받아들이고, 마지막 시간여행을 통해 어린 시절의 아버지와 함께 해변을 걷는다. 그 장면은 단순한 회상의 기능을 넘어, 죽음 앞에서 우리가 무엇을 기억해야 하는지를 말해준다. 커티스는 이 모든 감정을 ‘과장 없이’ 그려낸다. 감정의 과잉 없이도 깊은 울림을 주는 이유는, 바로 우리 모두가 경험하고 있는 ‘일상의 아름다움’을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침 출근길, 아이의 웃음, 아내와 나누는 농담 같은 소소한 장면들이 시간의 반복 속에서 더욱 또렷하게 빛난다. 영화는 그렇게 말한다. “하루하루를 두 번 사는 것이 아니라, 오늘을 처음이자 마지막인 것처럼 사는 것이 진짜 시간여행이다.”
우리의 인생이 영화보다 더 영화 같기를
『어바웃 타임』은 삶을 바꾸는 판타지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삶을 다시 보게 만드는 판타지를 제시한다. 팀은 시간이 주는 기회를 통해 실수를 바로잡고 더 나은 선택을 해보지만, 결국 진짜 성장은 ‘돌이키지 않고도 만족할 수 있는 삶’을 사는 데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영화는 관객에게 묻는다. 당신은 오늘 하루를 얼마나 진심으로 살았는가? 이 영화가 특별한 이유는, 그 따뜻함과 감성이 일상의 경험과 맞닿아 있다는 점이다. 거창한 사건이나 격정적인 전개 없이도, 관객은 팀의 이야기를 통해 자신만의 ‘시간여행’을 떠나게 된다. 『어바웃 타임』은 결국 사랑에 대한 영화이자, 인생에 대한 사랑 고백이다. 리처드 커티스는 이 작품을 통해 우리 모두가 살아가는 매일이야말로 가장 값진 기적임을 조용히 일깨워준다. 그리고 그 진실은 시간이 흐를수록 더 강하게 다가온다.